미국 연방 하원 위안부 결의안 5주년 기념식
by admin1
Posted on July 25, 2012
행사가 끝나고 할머니들과 참가자들 그리고 다민족 합창단
2007년 7월30일 미국 의회에서 일본군 위안부 결의안이 채택된 것을 기념하는 5주년 행사가 24일 오후 미 하원 방문자센터에서 개최됐다.
이날 행사에는 위안부결의안 채택을 제안하고 추진한 시민참여센터(옛 유권자센터) 관계자와 인턴 학생들, 한국에서 달려온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김복동 할머니를 비롯, 당시 의회 결의안을 발의했던 일본계 3세 마이클 혼다(민주당) 의원, 알 그린 의원, 일리애나 로스 레티넌 하원 외교위원장, 뉴저지 출신 빌 패스크렐 연방하원의원, 애니 팔레오마베가 연방하원의원 캘리포니아 조 바카의원 등 다수의 하원 의원, 켈리포니아 포럼, 워싱턴 정대위, 버지니아 한인회등 한국과 미국내 한인 단체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했다. 또 앰네스티 인터내셔널(AI) 관계자들도 동참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점차 미국내 주요 이슈로 비화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시민참여센터는 이날 새벽 김동찬 대표를 포함, 김동석 상임이사, 이 에스더 이사장, 정해민 전 이사장, 임마철, 전병관, 에드워드 강 이사와 인턴학생 30여 명과 함께 뉴욕을 출발, 워싱턴DC에 도착했으며, 그 외 강원대 국제문제 자문위원 등이 기념행사단과 함께 이동했다.
위안부 결의안 통과 5주년 기념행사는 이날 참석한 정치인 및 단체 대표, 위안부 할머니들의 연설과, 결의안 통과를 위한 공로로 수여되는 감사패 전달, 축하공연 순으로 진행됐다.
빌 파스크렐 의원(NJ -9th), 미이크 혼다의원, 김복동 할머니, 일리에나 로스 레티넌(하원 외원위원장), 알 그린 의원(TX-9)
위안부 결의안을 발의한 마이크 혼다 의원 등 주요 정치인들은 ‘위안부(comfort women)’라는 명칭을 ‘성노예(sex slavery)’로 고쳐야 한다고 입을 모았으며, 특히 위안부 문제를 해당 시기의 역사적 사실 정도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국제사회의 근본적인 문제, 여성인권문제로 확대해 다시는 그와 같은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강력한 결의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마이크 혼다, 애니 팔레오마베가 의원은 위안부 결의안 통과에서 나아가, 다음 단계로 국제협의로 이어져야한다고 역설했다. 마이크 혼다 의원은 향후 더욱 많은 연방하원의원의 서명을 받아 국제문제로 넘길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할머니와 인사하고 있는 켈리포니아 44지녁구 조 바커 의원
이날 한국으로부터 달려와 기념식에 참석한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김복동 할머니는 당시 위안부들의 참상을 증언하고 일본의 사과와 배상을 요구했다. 이, 김 할머니는 “일본정부의 사과 없이는 전세계의 반인륜적 행위가 절대 없어지지 않는다”고 강조하고, “미국이 일본정부의 사과를 받기 위한 노력에 더욱 적극 나서달라”고 요구했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윤미향 대표, 필리핀계인 마이애미대학교 에블리나 갈랑 교수, 중국계인 롱아일랜드 OCI 글레디스 옌 부대표 등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계속 참여해 온 각계 인사들 역시 일본의 사과와 국제여성인권을 위한 주장을 펼쳤다.
글리디스 옌 2007년 결의안 통과를 위한 121연대의 중국계 재미중국인기구 대표로 함께 참여하였다.
국제 엠네스티 쿠마르 디렉터 지금도 전세계적인 문제가 되고 있는 인신매매의 범죄행위이며 이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세계적인 인신매매를 근절시키는 활동이라고 하였다.
이날 시민참여센터 김동석 상임이사가 연방하원 외교위원회 일리아나 로스-레티넨 위원장으로부터 감사장을 받았으며, 기념식 연설의 진행을 맡은 워싱턴 성경대학 서옥자 교수(결의안 추진 당시 워싱턴 지역 대표)는 연방하원 마이크 혼다 의원으로부터 연방하원 특별 인증서를 받았고, 정대협 윤미향 대표, 시민참여센터 정해민 전 이사장, 홍일송 버지니아 한인회장(당시 워싱턴 121연대 대표), 윤석원 켈리포니아 포럼 대표(당시 캘리포니아 121연대 대표)등 그간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공로자에 대한 시상식도 함께 진행됐다.
축하공연은 각국의 연주자들과 공립학교 교사인 이소영씨의 음악으로 기념식의 의미를 더했으며, 시민참여센터 인턴학생들의 합창도 큰 갈채를 받았다. 특히 이용수, 김복동 할머니의 양 손을 꼭 잡고 노래한 ‘수선화’는 모든 참석자를 숙연케 했다.
이소영씨의 다민족 합창단 러시안 가수와 이소영씨 그리고 이용수 할머니가 서울의 찬가를 부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