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pport KACE

$
Select Payment Method
Personal Info

Donation Total: $10.00

한인이민사 최대 비극 LA 4/29 폭동: 25주년 특별대담

by admin1

한인이민사 최대 비극 ‘LA 4 * 29 흑인 폭동’ 25주년 특별대담

그날잊어서는 안된다. 정치력신장으로 2 피해 잘라야

올해 4월 29일은 미주한인 이민사에 최대의 비극인 ‘4*29 LA 흑인 폭동’ 25주년 이다.

4*29 LA 폭동은 1992년 4월 29일 교통 단속에 걸린 흑인 청년 로드니 킹은 집단 구타한 백인 경관 4명에게 배심원단의 무죄 평결이 내려지자, 분노한 흑은들이 LA 도심으로 일제히 쏟아져 나와 폭력과 약탈, 방화를 일삼은 사건이다. 흑인들의 분노는 한인에게로 집중적으로 분출돼 당시 LA 도심에 있던 한인 상정 2천 300여 곳이 약탈 또는 방화 피해를 봤다.

5월 3일 까지 이어진 폭동으로 사망자 53명, 부사아자 4천여명의 피해와 물적 피해 7~10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중 4억 달러가 한인들이 입은 피해였다.

우리 한인들이 결코 잊어서는 안될 ‘4*29 LA 흑인 폭동’이 25년이 지나자 차츰 한인사회에서 잊혀져가고 있다. 안 될 일이다. 뉴욕일보는 ‘4*29 LA 흑인 폭동’ 25주년을 맞아 한인사회의 정치력신장과 민권 운동에 진력하고 있는 김동석 시민참여센터 상임이사와 기획 대담을 갖고 그날의 의의와 가르침을 점검해 보았다.

Q: [송의용 기자 질문] 오늘이 4*29 LA 흑인 폭동이 일어난지 꼭 25년째 되는 날입니다. 시민참여센터는 이 ‘4*29’ 에 대한 자성에서 태동 햇습니다. 김동석 상임이사는 이 ‘4*29’ 폭동이 자신의 인생을 바꾸어 놓았다고 밝혀 오고 있는데…, ‘4*29’ 25년을 맞는 소회는 어떤가요?

A: [김동석 시민참여센터 상임이사 답변] 좀 답답합니다. 울화통이 터질 정도로 답답합니다. 100년을 훌쩍 넘은 미주한인 역사 속에서 가장 참혹한 사건이 1992년 LA 흑인폭동이고 이구동성으로 절대로 잊어서는 안 될 사건이라고 우리가 경쟁적으로 이야기하는 사건인데입니다.

그런데 오늘 25년째 무엇을 어떻게 하자는 그런 움직임이 동포사회에 전혀 없습니다. 도대체 한인사회에 누구 지도자가 없잖아요… 아주 갑갑합니다. 한인회를 비롯한 이런저런 단체의 회장님들이 많잖아요… 우리 한인들은 그들이 평소 회장대우를 하지 않는다고 불편해하고 불평한다는 그런 소리를 간간히 듣기도 하잖아요 그런데 누구 한사람 ‘4*29’ LA 폭동을 기억하자라는 발언이 없습니다. 깝깝한 일이지요.

“역사를 잊어 버리는 민족은 망한다!” 는 경구가 있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우리가요, ‘4*29’ 폭동을 다 잊어버렸습니다. 35만 이상의 뉴욕지역 한인동포사회가 모두 이것을 까마득히 잊었잖아요. 저는 단도입적으로 뉴욕의 한인사회 소위 지도자님들께서 다들 어디에 계시는 지를 묻고 싶습니다. 물론 한인정치인들 마찬가지구요. 선거철이면 선거자금 모금을 위해서 한인들의 권익신장을 목이 쉬라고 외치면서 돈을 좀 보태달라고 하는 한인정치인들도 다 어디에 계십니까?

‘4*29’ LA 폭동 25년째 어떤가요? 하고 물으시니 저의 가장 정직한 답변은 “깝깝합니다” 이것입니다.

Q: 우리 한인사회가 왜 이렇게 갑갑해 졌을까요? 타 소수민족 이민자들에 비해서 삶의 내영 (Life Style) 도 정리되어 보이고 경제생활도 처진 것도 아니고 더구나 교육수준도 높은 커뮤니티인데요… 왜? 벌써 ‘4*29’ 를 다 잊어 버려갈까요? 왜 주류사회내로 진출한 소위, 출세한 2세들은 거의 아무도 이 폭동의 교훈을 언급하지 않을까요?

A: 원인은 아주 명확합니다. 공동체 의식이 아주 부족한 거지요. 시민의식의 수준이 낮다는 이야기입니다. ‘교육’이 무엇인가에 대해서 이해가 낮습니다. 대개의 한인들이 자녀를 ‘전문가로 키워서 경제적으로 안정된 생활을 영위토록 한다’란 것이 한인 기성세대들의 교육의 시작이고 끝입니다. 우리 한인 부모들이 자녀들을 정확하게 이 수준으로만 키웠습니다. 한국계미국인님을 명확하게 인식케하는 정체성교육을 시키지 않았습니다. 주류사회 내 진출한 2세들이 ‘4*29’ LA 폭동을 정확하게 규정하는 일을 해야 합니다. 그렇게 하지 않고서는 2세들이 우리 한인사회에 어떤 역할을 해 주기를 기대할 수가 없습니다. 미국서 태어난 지금 30대가 된 2세 중에 1992년 LA 폭동을 기억하는 사람들이 거의 없습니다. 왜냐하면 우리 1세들이 스스로 2세에 대한 교육을 시키지 않으면 아무도, 어느 곳에서도 이것에 대해서 이야기하지 않습니다.

Q: 한인 2세들의 의식구조, 한인사회에 대한 인식과 1세들 (부모들) 의 책임에 대해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해 주시지요.

A: LA 폭동 때 (1992년) 에 태어났으면 벌써 대학을 졸업했습니다. 당시에 10살이면 지금 30대중반이구요 20대였으면 50에 접어듭니다. 한인사회의 중추가 35살 정도부터 50대까지 아닌가요? LA 폭동 등을 눈으로 직접 보고 겪은 세대가 지금 한인사회 중추입니다. 그런데 한인사회가 이렇게 조용한 것은 정말로 이해하기가 어렵습니다. 밀레니엄이란 200년을 지나면서 정말로 한인 2세대들이 소위 주류사회의 영항력 있는 인물로 많이 등장했습니다. 이 많은 출세한 한인 2세들이 부모커뮤니티의 어려움에 진정으로 나서는 사람이 없습니다. 일반 미국 시민사회가 개인주의를 걱정을 하는데요, 우리는 개인주의가 아니고 이기주의 입니다. 자신이 몸담고 있는 첫 번째의 공동체인 한인사회에 대한 책임과 애정을 갖게 하지 못했으니 이기적이라 할수밖에 없습니다.

미국서 진정으로 안정되고 안전하게 삶의 영역을 확보하려면 자신이 누구인가에 대한 정체성이 분명해야 합니다. 한인들이 이것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몰랐습니다. 우리의 처지를 잘 알지 못하고 힘 있는 다수 상류층만을 바라다 본 것입니다. 같은 처지의 소수민족들, 유색인종들과 인사도 나누기 전에 상류층만 바라 보았지요. “백인을 닮기 원하네”로 아예 소문을 냈습니다. 그런 생각으로 자녀들을 교육시켰으니 그야말로 겉은 유색인종인데 속은 하얗게 되었지요. 출세한 2세들이 LA나 뉴욕의 한인사회를 꺼리는 가장 기본적인 원인입니다. 우리 2세들의 현실을 냉정하게 보면 이런 형편이니, ‘4*29’ 폭동에서 교훈을 찾자!는 것은 기대하기 어렵겠지요.

폭동에 관해서도 그렇지만…, ‘정체성’이 자녀교육의 출발이고 기본입니다.

Q: 뉴욕한인사회에 ‘4*29’ 25주년 관련한 행사가 전혀 없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A: ‘4*29’ 는 뉴욕선 정말로 이미 잊혀진 사건입니다. 아무 곳에서도 25주년 관련 행가사 없습니다. 답답하고 안타까운 일입니다. 창피한 일이지요. 그런데요, LA에선 다양한 행사들이 있습니다. 폭동의 가해자였던 흑인커뮤니티, 라티노커뮤니티가 LA한인사회엔 늘 일상의 현실이고 삶의 현장입니다. 우리가 이 폭동에 관해서는 반드시 교훈을 찾아서 극복하고 회복해야 합니다. 뉴욕한인사회의 지도자님들이 이것을 잊어서는 안 될 일입니다. 그래서 뉴욕한인사회의 지도자님들께 적지 않은 실망감과 불만이 없다고 할 수 없습니다. 이 땅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우리에게 3*1절, 광복절, 6*25…등등의 사건 이상으로 중요하게 기억해야 할 사건입니다. 특히 2세들에겐 그렇습니다.

Q: ‘4*29’를 얘기할 때 미국사회에서는 ‘한흑갈등’에서 원인을 찾는 경향이 있습니다. 정확하지 못한 분석이라고 생각하는데요, 25주년이면 ‘4*29’ 폭동의 원인과 당시 그 배경에 대해서 이미 정확하게 규명이 되어 있어야 할 텐데요. 정확하고 만족스럽게 규명 되어 있습니까?

A: 아직 미흡합니다. ‘한흑갈등’이란 말을 우리가 써서는 안 됩니다. 왜냐하면 ‘4*29’는 한흑간의 문제가 아니었습니다. 지난 25일자 LA타임즈는 ‘4*29 폭동 25주년’ 이라고 특집기사를 냈습니다. LA타임즈는 가장 큰 피해자인 한인사회의 관정이나 주장은 완전히 배제한 채 흑인커뮤니티의 입장만 일방적으로 보도 했습니다. 신문은 폭동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나타샤 할린스 (당시 15세 흑인소녀) 양에 대한 추모행사를 사진으로 소개하면서 나타샤 할린스가 한국출생 업소주인 (South Korean-born shopkeeper) 이 쏜 총에 맞아 숨졌다는 사실을 부각시켰습니다. 폭동의 구체적인 원인은 로드니 킹 사건인데, 왜? ‘두순자 사건’을 기사로 냈는지, 이 기사를 읽어 보면요 ‘4*29’ 폭동의 원인을 한인사회가 제공한 것 같이 은연중에 묘사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25년이 되었음에도 한인사회가 폭동의 원인을 명확하게 규명하는 노력이 덜 되었다는 증거입니다.

‘4*29’ 폭동의 근본적인 원인은 경기불황애서 오는 대도시 슬럼가 극빈층의 사회폭동입니다. 한인들에게 불만은 품은 흑인이나 남미계의 공격이 아닙니다. ‘한흑갈등’ 이란 말은 책임을 면하기 위한 백인 주류들이 미디어를 통해서 쏟하낸 용어입니다. 참으로 답답한 일을 한인들 중에도 ‘한흑갈등’ 이란 용어를 쓰는 사람이 있습니다. 폭동의 본질은 빈곤의 문제이고, 그 책임은 나라를 운영하는 정치인들이 져애 할 일입니다.

‘4*29’ 는 어디까지나 사회적 불평등과 빈곤문제에 불만을 품은 남미계와 흑인들이 ‘로드니 킹’의 재판 결과에 그 불만을 폭발 시겨서 폭도가 되어 거리로 몰려 나온 사건입니다. 책임을 져야 할 주류 백인들이 백인 흉내를 내면서 살아가는 한인들의 등 뒤에 숨어버린 것입니다. 당시 주류 언론들은 한인과 흑인간의 갈등으로 폭동이 일어났다고 한흑관계를 이간시키는 방향으로 연일 보도했습니다. 흑인이나 남미계들이 평소에 같은 소수인종의 편에 서는 것에 인색했던 한인커뮤니티를 예쁘게 보았을 리는 없었지요.

미국에서는 인종폭동이 주기적으로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 주기는 경기변동의 사이클과 함께 합니다. 인종문제가 아니고 빈곤문제가 본질입니다. 그리고 한인사회가 폭도들의 표적이 되었던 이유는 한인사회의 정체성의 문제가 그 원인이었습니다. 우리가 집단적으로 소수계 연대에 분명한 입장을 견지해야 합니다. 폭동 당시나 지금이나 한인들이 갖고 있는 고질적인 인종편견이 큰 문제입니다. 솔직히 한인들 가운데에 아직도 아주 쉽게 흑인을 “깜둥이”라고 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습니다. 저는 그런 분들에게 한번씩 “누렁이”라고 불러 봅니다. 아주 질색이고 기분 나빠합니다.

Q: ‘4*29 LA 흑인폭동’은 미주한인 이민사 최대의 비극이지만, 한편 우리 한인들이 이 미국에서 어떻게 살아나가야 할까를 가르쳐주는 가장 좋은 교과서요, 교훈이기도 하다고 생각합니다. LA 폭동 이후에 한인사회가 좀 달라졌지 않습니까? 정치력신장, 민권운동의 불쏘시개 역할을 했다고 생각하는데요…

A: ‘4*29’ LA 폭동 직후 3,4년까지는 동호사회가 결집이 잘 되고 권익을 스스로 지키자는 정치력신장의 운동도 활발했습니다. 폭동을 뼈아프게 새기면서 저도 1993년부터 유권자센터 설립을 궁리했고 1996년에 플러싱에 ‘한인유권자센터’를 창립하여 지금의 시민참여센터로 22년째에 이르고 있습니다. 정치력신장의 측면에선 많이 달라졌지요. 뉴저지 한인밀집지역인 버겐카운티에서 1997년부터 유권자운동을 펼쳤는데, 그때부터 우리가 각 타운의 시의원 시장, 카운티의 프리홀더 카운티장…등의 역할과 기능, 선거에 대해 한인사회에 알리기 시작했습니다. 란인들 중에 몇몇 사람들이 지역 정치인들과 교류하고 있었는데 한인사회에 유권자운동이 펼쳐지면서 이것이 터지게 되었습니다. 지금은 뉴욕, 뉴저지에서 한글로 투표할 수가 있습니다. 많이 달라진 셈입니다. 물론 다시는 폭동의 피해자가 되지 말자라는 차원에서의 정치력신장 운동이엇습니다. 그렇지만 이것으로만 충분하지 않지요. 한인사회 지도자들이 2세들의 정체성 교육에 매진해야 하고 소수인종임에 각성해야 하고, 지역사회에 적극 참여해야 하고 폭동을 잊지말자는 이런 노력을 함께 해야 합니다.

한마디로 1992년 폭동 이후에 한인사회가 달라진 것이 있다면 정치력신장 입니다. 충분하지는 않지만 뉴욕이나 LA똑같이 정치참여의 열기는 달라졌지요.

Q: ‘4*29 LA 폭동’ 25년이 지났는데요, 뉴욕일보는 4월27일자 신문 ‘4*29’ LA 폭동 25주년 기획 기사로 “LA 주민 60%가 25년전 폭동 또다시 일어날 수가 있다”는 조사 보고서의 내용을 보도했습니다. 재발 가능성에 대한 생각은 어떻습니까?

A: 앞에서도 강조 햇지만 폭동의 원인은 빈곤문제와 인종문제가 결합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살고 잇는 미국은 지난 한 세기 이래로 지금이 빈부 격차가 가장 심하다고 합니다. 트럼프 권력의 가장 독소정인 요소는 백인우월주의입니다. 대도시 슬럼가의 범죄율이 매년 증가하고 있지요. 사회가 대단히 불안해졌습니다. 뉴욕일보의 보도와 같이 지난 26일 LA타임즈는 LA 주민 60%가 향후 5년 내에 ‘4*29’ 와 유사한 인종폭동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음을 우려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유색인종에 대한 백인들의 공격적인 차별이 점점 더 횡횅해지고 있습니다. 뉴욕, LA, 시카고 등지의 흑인들과 남미계 극빈층들의 일상이 점점 더 비참해지고 있음이 사실입니다. 폭동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Q: 우리 한인들이 또 다시 폭동의 피해자가 되어서는 안 될 일입니다. 우리 한인사회가 구체적으로 어떤 준비를 해 나가야 할까요?

A: 우선은 리더십이 이 문제에 진지해야 합니다. 한인사회가 대외적으로 잘 조직된 것으로 비추어지고 있습니다만 한인사회를 대표하는 지도자들만이라도 타인종 사회와 교류를 폭을 넓혀야 합니다. 우선은 아시안계들과, 그리고 흑인사회와 관계를 잘 해야 합니다. 아직까지 한인사회는 우리끼리만 무엇을 하고 있습니다. 흑인사회의 어려움에 동참해야 하고 공권력에 권익이 침해 당하는 케이스에 함께 싸워줘야 합니다. 트럼프 권력의 인종주의에 항의하는 집회에 한인들이 없습니다. 이러면 안되지요. 많은 한인들이 참가할 수는 없지만 한인사회 지도자님들은 참여를 해야 합니다. 우리의 문제는 우리끼리만 이 문제입니다.

우선, 소수인종의 입장을 명확하게 해야 합니다. 지역사회 일에 적극 참여해야 하구요. 인종편견을 없애야 합니다. 그리고 ‘4*29 폭동’에서 교훈을 찾는 일에 게을리 해서는 안됩니다. 35만 이상의 한인사회에서 ‘4*29폭동’ 25주년 행사가 아무 것도 없음이 실로 한심한 일입니다. 그렇지 않은가요? 3.1절이다, 6.25다, 광복절이다, 대통령 초청 동포간담회 등등의 행사에는 서로 앞장서겠다고 하는 회장님들이 어떻게 이 ‘4*29 폭동’과 관련해서는 이렇게 무지하고 무관심한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는 정치참여입니다. 결국엔 우리의 집단적인 정치력만큼 보호받습니다.

  • 오랜 동안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이 칼럼은 2017년 4월 29일  뉴욕일보 에 또한 기재되었습니다.

 


Recent Comments

    Arch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