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인들의 풀뿌리 운동이 주목받고 있다. – 김동석
by admin1
Posted on December 17, 2009
60년 만에 권력이 바뀐 일본과의 관계에 미국이 갈팡질팡하고 있다. 태평양전쟁에서 미국에 무릎을 꿇은 일본은 그동안(60년) 전범자들과 그의 후손들이 만들어 낸 자민당이 권력을 독점해 왔다. 패전국, 일본의 특징은 목소리 없이 고개 숙이고 돈만 벌어들이는 것이었다. 국가의 품격이나 민족의 자존심에 대해서는 엄두도 낼 수가 없었다.
그러나 전후 동. 서 냉전체제에서 제3세계 국가들은 생존을 위해서는 패권국가에게 일방적인 복종만을 강요당했다. 그러한 국제사회 질서는 오히려 전범의 패전국에게 안전과 기회를 제공하게 되었다. 소련과 중국에 대항하는 미국의 전선이 한반도로 정해지면서 일본은 국가안보를 위한 국방비를 절약할 수가 있었다. 일본이 세계 경제대국으로 부상할 수 있었던 배경이다.
이제 국제사회는 초강국 미국의 단극시대가 되었다. 한쪽으로의 선택이 아니고 초강국과의 긴장 속에서 자신의 힘을 바탕으로 스스로 위치와 위상을 정해 나가야 하는 무제한 경쟁의 시대가 되었다. 보이지도 않게 미국의 등에 올라 타 있던 일본이 서서히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21세기를 설계한다고 새로운 구상을 선포하던 클린터 초기에 일본은 아시아 맹주 자리에 대한 구체적인 구상을 시작했고 일방적인 패권을 주장하는 조지 부시가 등장했을 때에 아시아 지배의 속내를 드러내기 시작했다.
미국의 약점을 보완해 주면서 미국으로부터 그러한 암묵적인 동의를 받아 냈다. 일본 자민당(고이즈미)의 꼼수였다. 만6년 만에 부시 아이디어가 허위와 허구라는 것으로 판명이 났고 그러한 이유로 일본과 미국의 관계에 이상 조짐이 나타났다. 미주한인 동포가 이러한 낌새에 파고들었다. 미국의 새로운 리더십에게 일본의 극우 자민당 권력의 숨겨진 침략적 독소를 들추어 보여 주었다.
2007년 7월30일 미국연방하원에서의 ‘일본군강제 종군위안부결의안’의 만장일치 통과였다. 미국 정치판의 일본계 거물인 ‘다니엘 이노우에’가 DC중심부에서 아무리 버티려고 했지만 Grass Root에서 외치는 미국 유권자들의 ‘평화열망’ 목소리를 막아낼 수가 없었다.
지난 12일 토요일, 연방하원 외교위원회의 거물인 “댄 벌튼” 의원이 뉴욕의 한인 유권자센타를 찾아왔다. 그는 공화당내 동남아시아를 전담하는 외교전문 정치인이다. 아시아의 평화가 결국엔 미국의 이익에 부합하는 것이고 아시아의 평화를 위해서는 일본이 평화주의로 권력이 바뀌어야 한다고 “일본군위안부결의안”과 ‘독도명칭문제“를 주장한 한국계 미국시민 풀뿌리단체를 찾아온 것이다.
그는 한국계 미국시민단체(유권자센타)가 워싱턴서 목소리를 내는 것을 목격하고 의회 내 한국위원회(Korea Caucus)의 의장을 자임한 정치인이다. 사실, 댄 벌튼 의원은 2008년 1월에 이미 유권자센타를 방문했었다. 유권자센타에 어떠한 풀뿌리 프로그램이 있는가를 확인해 보고 싶었던 의도였다. 유권자등록과 투표참여란 풀뿌리실천을 확인하고서 굳건한 신뢰를 갖게 되었다. 풀뿌리 프로그램(실천)이 없는 시민단체들이 로비를 하려는 경향이 있다고, 구체적으로 시민들을 만나지 않으면서 정치인을 만나서 커뮤니티의 현안을 언급하는 행태의 위험성을 설명하기도 했다.
정치판의 흐름에 민감한 커뮤니티 단체들이 앞을 다투어 유권자 그룹을 조직하고 있다고 예를 들어서 설명하기도 했다. 그는 유권자 센타가 한인유권자의 목소리로 주류 미디어를 움직였고 그래서 미국시민사회의 관심을 집중시킨 결과 결의안을 성사 시켰다고 했다.
그는, 공화당이 풀뿌리 조직들과의 관계를 회복하고 복원시키는 프로젝트를 갖고 있다고 했다. 그는 가장 중요한 것은 구체적인 프로그램이라고 했다. 그렇지 않고서는 단체의 주장인지, 유권자의 여론인지 알 수가 없는 것 아닌가? 반문하기도 했다. 워싱턴 외교정책에 이해관계를 가진 종족적 로비(Ethnic Lobby)들이 점점 더 영향력을 확대하기 때문에 어떠한 단체들이 진정한 풀뿌리 시민단체인지에 대해서 점점 더 감시를 강화 하는 경향이 있다고 조언했다.
시민들을 위한 프로그램이 없는 단체들이 정치인들만 쫒아 다녀서는 위험하다는 경고다. 유권자 센타가 독도문제를 들고 왔을 때가 인상적이었다고 했다. 당시, 독도가 어느 나라의 영토란 것에 주목하지 않았고 지금 독도에 대한 한국과 일본 간의 영토분쟁이 미국의 이익에 도움이 안 된다는 ’미국의 이슈‘로 제기했기 때문에 의원들이 나설 수 있었다고 했다.
미국의 대한반도 정책이 미국의 이익에 민감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한인단체들이 신중하게 활동해야 할 것이라 했다. 워싱턴과 관계하는 한국계 비영리단체들 중에서 구체적인 시민 프로그램이 없는 단체들을 지적했다. ‘시민권취득, 유권자등록, 투표참여’ 운동을 더욱 확대하여 지속시킬 것을 조언했다. 외교전문 거물 정치인인 ‘댄 벌튼(Dan Burton)’ 의원과 맨하탄의 한인타운 밤거리를 함께 걸으면서 이민자의 ”긴장감“에 가슴이 뻐근해 왔다.
유권자센타는 1992년, 4.29폭동을 계기로 설립된 ‘30년 프로젝트’이다. 한인동포 권리와 이익을 옹호하기 위한 투표권 활동이다. ‘유권자등록 운동’ 만을 갖고서 2025년까지 30년을 간다 . 우리가 축적하는 한인들의 집단적인 투표의 힘을 어설프게 허비해서는 안 된다. 주류정치인들이 시선을 준다고 해서 섣불리 나설 일이 아니다.
동포사회에서 소그룹을 만들어 그 대표성으로 정치인을 접촉하는 예가 허다하다. 범 동포 적으로 지지를 받지 않고서 정치인을 만나서 한인들의 현안을 언급하는 것은 그나마 만들어진 정치력을 까먹는 일이다. 유권자센타가 정해놓고 달려가는 30년 중에 이제 절반을 왔다. 뉴욕지역의 투표 집단이란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워싱턴 거물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지만, 겨우겨우 낼 수 있는 목소리는 인류 공동의 목표인 “평화와 인권”이고 한국과 미국의 이익을 일치시키는 노력이다. 우리가 대한민국 뉴욕시에 살고 있는 것 같지만 엄연히 우리는 미국의 실정법 하에 있다. 가장 강력한 정치력은 시민사회 내 가장 모범적인 커뮤니티가 되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