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pport KACE

$
Select Payment Method
Personal Info

Donation Total: $10.00

Author: kace

‘샹그릴라 대화(아시아안보회의)’에서 동북아시아 보기. – 김동석

by kace

 “ 인도의 민중봉기가 발생했다. 인도주재 영국 외교관들이 비행기를 타고 탈출을 하다가 히말라야 산맥에서 우연히 ‘샹그릴라(Shangri-La)'에 이르렀다. 영원히 늙지 않고 젊음을 유지하는 평화의 신비로운 곳인 지상낙원인 샹그릴라에서 갖가지 체험을 하게 된다…



[시민학교] H.R. 1812 (한국인 전문직 종사자를 위한 비자쿼터 확장) 법안 캠페인 설명회

by kace

시민참여센터는 5월 29일 저녁 7시 플러싱 159 스트릿에 위치한 KCS 플러싱 회관에서 H.R. 1812를 위한 설명회를 개최하였다. 이 설명회는 최근 H.R. 1812  캠페인에 참여하여 단기간에 700여명의 청원자를 확보한 퀸즈한인회(류제봉회장)의 요청으로…



드러난 아베의 발톱 – 김동석

by kace

미국의 외교정책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단체 중에 ‘여성외교정책구룹(WFPG)'이 있다. 미국에서 가장 똑똑한 최고의 여성인재들의 모임임을 자부하는 단체다. 이 여성외교정책구룹의 2014년 연례만찬이 지난 14일 워싱턴의 메이플라워 르네상스 호텔에서 개최되었다. 이 연례만찬에서…



429 폭동 22주기를 보내며 – 김동찬

by kace

429 폭동 22주기입니다.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다는데 429 LA 폭동은 두번의 강산이 변하고 2년이 더 흘렀다. 미주동포 역사가 되어버린 429 LA 폭동, 미국 이민와서 피땀흘려 일해서 좋은 가게, 좋은차, 좋은 집 그리고 자녀들을 좋은 학교에 보내면 아메리칸 드림이 이루어진다고 믿고있었다. 아닌밤중에 홍두께라고 흑인 운전자 로드니 킹이 고속도로에서 경찰들에게 경찰봉으로 폭행다하는 뉴스를 남의 일로 생각했는데 그것이 피땀 흘려 모은 재산을 하루아침에 잿더미로 만들줄 누가 알았을까? 그때 폭동의 현장에서 총에 맞아 생을 마감한 20대 초반의 청년 이재성군 그리고 그 아들을 가슴에 묻고 살아가고 있는 부모들은 429가 오면 강산이 2번 바뀌었는데도 잠을이룰수 없을 것이다. 역사를 망각한 집단은 그집단의 현재 좌표가 무엇인지 모른다. 그리고 어디로 가야할지도 모른다. 그렇게 우왕좌왕 하다가 집단은 다른 집단속에서 사라진다. 우린 429 LA 폭동을 기억 저편속의 역사로만 두어서는 않될 것이다. 거기서 교훈을 찾고 교훈을 언제나 되새기면서 다음의 후손들에게 반드시 가르쳐야 할 것이다. 429 폭동에서 우리는 무엇을 배울 것인가? 첫째 여러 민족과 인종이 섞여 살고 있는 미국에서 그림자처럼 살아서는 않된다는 것이다. 1992년 그 때  미국에 살고 있던 한인들은 너무도 조용히 그림자처럼 살았다. 스스로 목소리를 내야 한다는 필요성도 느끼지 못했다. 그저 열심히 일해서 좋은 생활여건을 만드는 것 그리고 자녀들에게 좋은 교육을시키는 것이었다. 그러나 막상 사고가 나고 이민와서 피땀으로 모은 재산들이 폭도들에 의해 강탈당하고 잿더미가 되었는데 치안을 책임져야 하는 경찰은 강건너 불구경하듯이 보고 있었다. 아무도 거기에 한인들이 있었고 그들이 피해를 보았고 그들을 지켜야 하고 보상을 해야한다는 생각을 하지 않았다. 이런 책임을 지고 있는 정치인들 시행정 관료들 모두 한인들에 대한 걱정은 털끝만큼도 없었다. 왜 그랬을까? 한인들은 선거에 참여 하지도 않고지역에서 일어나는 크고 작은 활동에도 전혀 참여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들은 한인들에대한 생각조차 없었던 것이다. 둘째 한인사회를 잘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대변할수 있는 딱 한명의 지도자가 없었다는것이다. 당시 폭동이 일어나고 지역을 책임지는 많은 행정관료와 정치인들이 비상대책회의를 하고 주방위군 배치의 장소와 시기를 논의할때 거기에 한인들이 비지니스를 하고 있고 많은 피해를 보고 있으니 빨리 그곳으로 주방위군을 투입해야 한다는 목소리를낸 그런 인물이 단 한명도 없었다는 것이다. 폭동은 끝났고 울분을 참지 못한 수많은 한인들이 태극기와 성조기를 들고 행진을 했다. 우리가 원하는 것은 평화다고 외쳤다. 그리고 폭동이 일어난 그후부터 한인 커뮤니티는 정치력 신장이라는 이야기를 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22년이 흐르면서 전국적으로많은 한인 정치인들이 지역의 정치인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429폭동은 이민 100년 한인 역사의 분기점이 되었다. 한인들이 각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다민족 연합국가라는 미국에서 스스로 목소리를 내기 위한 노력을 해야하고 자기커뮤니티를 위한 똑똑한 지도자를 키워야 한다.  가가운 예로 부르클린에서 한인 태시기사가 강도에게 폭행을 당하자 선출된지 얼마 안된 로 김 주 하원의원이 그곳에 찾아가서 법안을 만들었다. 또 부루클린 지역에서 한인상권이 공격을 받자 동료 의원의 협조를 받아서 지역 주민들과 한인 상인들의 미팅을 만들 재방방지를 위한 노력을 했다. 429 폭동 당시에는 이런 지도자가 없었다. 그러나 아직 우리가 갈길은 멀다. 미국의 주류사회 유권자 등록율이 80% 대통령 선거때는 80% 이상의 투표율을 보인다. 그러나 아직 한인 커뮤니티는 그에 턱없이 미치지못하는 50%대의 유권자 등록율과 40%대의 투표율을 보이고 있다. 429폭동 22주기를 맞으며 다시금 우리의 현재 좌표와 갈길을 생각해보는 그런 시간을가져보자.



Recent Comments

    Archives